본문 바로가기

Regulation_규제9

북극해항로 쇄빙지원비가 비싸져야 하는 이유 Rosatom이 북극해항로 인프라개발과 운영을 책임지는 단일 기관이 되었다. 이후 Rosatom은 - 원자력쇄빙선 건조를 주도하고 있고, 늘어난 원자력쇄빙선에 대한 수리를 위한 부유식 도크도 확보하려 하고,. - 대형 선박의 항해와 항만 터미널을 접안을 위해 수로 준설을 하고 있고,- 북극해항로 항해 선박에 대한 통제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운영하려 하고,- 보다 나은 북극해항로 해빙 기상 정보를 위해 인공위성 발사도 추진하고 있고, - 수로 탐사를 통해 수심 측정과 항로를 개척하면서(교통부), 해도를 제작하고 있고,- 비상 구조 체계 구축을 위해 시설과 장비를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금이 투입되면 그만큼 수입이 늘어나야 하는데, 통과 선박들이 부담하는 쇄빙지원비는 그만큼 증가하고 있지.. 2025. 6. 12.
북극해항로 관할 기구 조직의 변화 1932년, 구 소련, 북극해항로 개발을 위한 조직을 최초로 설립. Glavsevmorput 1991년, 구 소련이 붕괴되면서, 북극해항로를 지탱하던 공공 기관의 설비, 대표적으로 쇄빙선 등에 대한 관리 기구가 사라졌음. 북극해항로 물동량 급감. 원자력 쇄빙선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무르만스크해운 선사가 담당하기도 했음. 2004년, 러시아 교통부 해양하천운송청이 북극해항로 운항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음 2009년, 독일 벨루가 사, 두 척의 선박이 북극해항로로 울산항에서부터 노비항까지 중량화물을 운송했음. 2013년, 북극해항로에 대한 관심과 항해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양하천운송청 산하에 북극해항로국(NSR Adminstration . nsra.ru ) 설립 2014년, 러시아 지역발전부를 해체하면서 극동개.. 2025. 6. 12.
세계 7개 해상 교통 요충지 2025년 4월 9일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는 세계 7개 해상 교통 요충지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7개 요충지는 수에즈운하 : 세계 무역의 10-12% 처리, 좁은 폭, 단일 수로, 파나마운하 : 2016년, 뉴파나막스 선박 수용을 위한 세번째 갑문 추가, 상당한 용량 제한, 장기간 가문은 가용수위에 영향지브롤터해협 : 8마일 폭, 성수기에는 충돌, 혼잔, 지연 위험 확대싱가포르해협 : 좁은 싱가포르 해협, 북극항로 : 러시아 중국의 새로운 기지, 쇄빙선을 포함한 군사 활동증가. 북대서양과 북태평양 연결 말래카해협 : 가시성이 낮거나 몬순 폭풍, 강류와 같은 악천후 조건에서 대형 선박에 상당한 어려움영국해협 : 21마일 영국과 프랑스 사이기타 교통 제약 : 각 요충지의 제약이 각 국.. 2025. 4. 24.
북극항로 항해를 하려면(수정 보완 필요) 북극해항로(북동항로)는 러시아, 북서항로는 캐나다 당국에 신청하고 허가를 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신청 기준을 만족시키면 항해허가가 발행된다. 1. 북극해항로 : 그림과 같은 웹페이지(https://nsr.rosatom.ru/en/consideration-of-applications/send-the-application-online/?edit=Y) 를 통해서 북극해항로 통항을 신청한다. 기본적인 정보에 더하여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있다. 아래의 내용이 있는 파일을 첨부한다. // Application for Admissionto navigate in the Northern Sea Route Area (NSRA)(to be sent to the NSR General Admini.. 2025. 4. 10.
북극 대륙붕 1. 북극 대륙붕 문제 - 대륙붕이 EEZ의 범위를 넘어서까지 있을 경우 이를 확대 적용한다. 즉 대륙붕이 EEZ의 200해리를 넘어서면 그 대륙붕 영역까지 권리를 요구한다. 2. UN대륙붕한계위원회 - 각 나라는 대륙붕에 대한 조사를 한 후 조사결과에 따라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대륙붕에 대한 권리를 요청한다.  3. 대륙붕 권리 요청 내용- (2023년) 러시아의 중앙북극해에 대한 해저권리 :  러시아가 중앙 북극해의 해저 권리에 대한 대부분의 주장에 대해 승인 권고하는 63페이지의 보고서를 발표했음(2023년). UN 웹사이트에 업로드된 문서에 따르면 170만 평방 킬로미터의 해저임.- (2023년) 미국의 권리 요청 : 미 정부는 연안으로부터 200 해리를 넘어선 미국 대륙붕한계(Extended c.. 2025. 3. 20.
북극이사회 : 원주민 단체 1. 북극 거주 인구는 총 400만 명이며, 이중 원주민은 50만 명이다.   - 원주민 거주 지역은 아래와 같다.  2.  원주민 단체 6개가 북극이사회에서 영구참여자( Permanent participants) 지위를 받았다.  - 영구 참여자는 이사회의 협상 및 결정과 관련하여 완전한 협의권을 갖는다. 영구 참여자는 북극 이사회의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며 모든 분야에서 이사회 활동에 귀중한 기여를 한다. - 이 카테고리는 북극 원주민 조직에도 동등하게 개방되어 있으며, 북극 원주민 조직은 다음과 같다.      두 개 이상의 북극 국가에 거주하는 단일 원주민 또는      하나의 북극 국가에 두 명 이상의 북극 원주민이 거주하는 경우. 3.  북극 원주민은 다음과 같은 원주민 그룹이 있다.  - 핀란.. 2025.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