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6 2025년 7월 31일 북극항로 선박 동향_이미지 베링해를 향해 나아가는 Danila Bagrov, Bao He Hai, Newnew Star, Newnew Polar Bea, Viktor Tsoi. LNG운반선 Vladimir Voronon, Vladimir Rusanov와 원유 운반선 Kiriil Lavrov 랩테프해를 지나는 Astrum Apus, Sheng Xu 169는 중국 선적으로 IMO번호가 보이지 않는 선박으로 오류로 보임. Hon Fa, Hui da 9는 동향 Milne Inlet 항에 두 척의 Tug선이 세 척의 벌크선 하역을 지원하고 있다. 베이핀만에서 두 척의 선박이 대기 중이다. 세 척의 Nordic Nuluujaak호 등이 선적 후 터그선의 지원하에 베이핀 만으로 항해한 후, 두 척이 Milne Inlet으로 들어올 예정이.. 2025. 7. 31. 아르한겔스크 1. 항만 개요- 아르한겔스크항 발전의 장애 요인 첫째,연중 쇄빙선 도선 필요. 백해에서 바렌츠해로 가는 통항로 입구는 연중 북쪽에서 밀려드는 얼음으로 막혀 있음. 항해용 수로와 부두 서비스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대규모 준설작업을 해야 함. 북부 드비나강 하구의 수심이 낮기 때문임 1. 알렉산더 치불스키 아르한겔스크 주지사, 2025년 7월 24일 푸틴 대통령과의 회의에서 - 주지사는 "그들(중국 뉴뉴쉬핑사)은 아르한겔스크항의 30% 지분을 얻기 위해 이 프로젝트에 최대 2,000억 루블(25.2억 달러)을 투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과 말했음. - 러시아가 지원하는 항만 용량 확장 계획의 일환인 아르한겔스크 터미널의 지분을 인수할 예정이라는 것임. 2025. 7. 29. 2025년 북서항로 항해(10월말까지 업데이트 예정) 1 Milne Inlet 철광석 운송 Ocean Taiga : 7월 8일 퀴벡 출발 Milne Inlet향( 7월 31일 도착 예정 ) Ocean Tundra : 7월 3일 퀴벡 출발 Milne Inlet향( 7월 31일 도착 예정 ) 다섯 척의 선박이 7월 30일 현재 베이핀만에서 대기중Nordic NuluuJaak : 7월 11일 로테르담 출발 Milne Inlet향Nordic Siku :Nordic Odin :Nordic OlympicNordic Oshima : 2. Wagenborg 선박 운항 - Thamesborg : 파나마항로로 울산 7월 27일 도착, 군산 향 - 중국에서 캐나다로 항해하면서 북서항로 항해할 듯 3. 크루즈 - 2025. 7. 28. 우리나라 주요 항만과 북극항로(수정) 1. 항만 서비스 - 항만물류산업은 항만운송산업과 항만운송유관산업으로 구분된다. 항만운송산업은 항만하역산업을 기본으로 검수, 검량, 감정업 등이 있고, 항만운송유관산업은 급유, 항만용역, 선용품공급업 등이 있다. 북극항로를 항해한 선박이 항만에서 하역을 하거나, 혹은 급유, 선용품 공급, 청소, 쓰레기 정리, 래싱, 선박 수리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틀어 항만 서비스라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에 얼마나 많은 선박이 들어와서 얼마나 많은 화물을 하역했는 지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선박이 많이 들어오면 그만큼 급유, 선용품 공급, 래싱 등의 서비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항만운송유관산업보다는 항만운송산업에 더 많은 관심이, 특히 부산항의 경우에는 컨테이너 하역업에 더 많은 관심이.. 2025. 7. 26. 해빙기상 예상에 대한 의견 1. (2025년 2023년 연구 결과) 북극해 해빙 : 불확실하다 : (이산화탄소 농도와 북극해 해빙 면적 관계) - 북극해 해빙 - 특히 여름철 해빙은 중요한 기후 지표. 9월 해빙 면적(SIE)은 1979년 이후 약 40% 감소 - SIE감소의 주된 원인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임. 하와이 마우나로아산 관측 결과 이산화탄소 농도는 1979년 9월 333ppm-> 2024년 422ppm. 이산화탄소 증가가 북극 지역의 기온을 평균 지구 온난화보다 상당히 높이는 결과 초래. - SIE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간 상관관계 분석 -> SIE감소의 80%는 대기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설명 가능. 나머지는 자연적 변동성으로 설명가능. - 대부분의 지구 기후 모델은 이번 세기 9월 SIE가 얼음이 .. 2025. 7. 20. 2025년 7월 18일 기준 통항허가 발급 -비러시아선적 선박 - 7월 18일 기준, 705건의 북극해항로 통항허가가 발급되었음. 이중에서 Yamal 프로젝트로 허가된 외국적 선박을 제외하고, 모두 18척의 외국적 선박이 북극해항로 통항허가를 받았음 - 컨테이너선 4척, 건화물선 6척, 일반화물선 4척, 요트 2척, 프랑스와 중국의 연구선이 각각 통항허가를 받았음. - - 내빙등급이 없는 선박이더라도 10월 말까지 항해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음(Newnew Panda1). 내빙등급이 없는 컨테이너선과 건화물선 다수가 북극해항로를 항해하는 허가를 받았음. 하절기에 북극해항로를 항해하는 데에는 내빙등급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Xin Xin Hai 1의 선종이 일반화물선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컨테이너선사에서 운영하는 컨테이너선으로 보임. 컨.. 2025. 7. 20.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