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oyage_항해8

2025년 통과항해 (11월말까지 수정 예정) 1. 2025년 북극해항로 하절기 시즌 항해 시작 - 6월 20일 Yamal쇄빙선이 빌키츠키 해협 통과하여 랍테프해로 진입. Yamal LNG운반선 Georgiy Ushakov호의 항해를 지원하고 있음. 뒤에는 Vaygach호가 일반화물선 Tambey, Bering호를 항해 지원중임. 두 척의 화물선은 아르한겔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톡으로 항해중임. - 2024년 통과항해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음. 2024년에는 Shtruman Skuratov호였음. //- 6월 23일 현재 Georgiy Ushakov호 랍테프해에서 14.2노트로 항해중. Tambey, Bering호는 동시베리아해에서 8노트로 항해중 https://www.thebarentsobserver.com/news/a-convoy-is-on-th.. 2025. 6. 23.
2024년. 중국 컨테이너선사의 북극해항로 항해 - 9척의 선박이 14항차 항해. - 중국 항-아르한겔스크 간 Arctic Express 1 서비스, 중국 항-상트페테르부르그간 항해. 두 가지 패턴의 컨테이너 운송- Safety Trans(?) 선박 두 척이 통항 허가를 받았으나 항해하지 않았음. - 낮은 내빙등급 선박이 주로 투입되었음. 2025. 6. 12.
2025년 3월 31일 LNG환적이 킬딘에서 시행 1. 노바텍사는 2018년 츄디해운의 도움으로 노르웨이 Honningsvag 해역에서 Arc7 LNG운반선-일반LNG운반선 간 선박대선박 환적을 시작했음. 2018년 11월 최초로 환적을 했음. 2019년 3월 기상 악화로 보류 되었음. 2. 2019년 4월 무르만스크 Kildin섬 해역에서 환적을 할 수 있도록 허가 받았음. 이후 선박대 선박 환적의 대부분은 Kildin해역에서 이루어졌음. 특히 LNG물량 수요 대비 Arc7 선박이 부족할 경우 Kildin해역에서 이루어졌음. 3. 2022년, 캄차트카와 무르만스크 Ura만에 각각 Saam FSU, Koryak FSU를 배치하여 환적하고자 했으나, 대러 제재로 미운영 4. 2025년 3월 27(?)일부터 유럽 항만에서 LNG환적이 중지되었다. Yam.. 2025. 4. 10.
2025년 3월 31일 LNG환적이 킬딘에서 시행 3월 27(?)일부터 유럽 항만에서 LNG환적이 중지되었다. Yamal LNG는 이제 무르만스크 인근 길딘섬 해역에서 선박대선박(STP) 환적으로 이송된다. 2025. 3. 31.
북서항로 항해 2011년까지 요트와 크루즈선의 여객선 항해가 대부분이었으며, 탐험연구선 혹은 터그선 등의 항해가 주로 이루어졌음 2012년 2012년 최초로 화물운송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임. 탱커선 Goaland Carolina가 50,400m3의 탄화수소자원을 서쪽 방면으로 운송했음  2013년 Nordic Orion호가 뱅쿠버에서 석탄 73,000톤을 선적하여 핀란드로 운송했음.  2014년Nunavik 니켈 정광 23,000톤을 중국으로 운송했음 2015년화물운 운송한 항해는 없었으며, 다목적 쇄빙선 Fennica호와 Nordica호가 태평양 방면에서 태퍼양 방면으로 위치 이동 항해했음. 2016년Africaborg호가 중국으로 캐나다오 carbon anode을 운송했음. Happy rover호가 한국에서 Gra.. 2025. 3. 21.
2025년 북극항로 항해 예상 1. 2025년 북극항로 항해 예상(아르한겔스크 주지사 치불스키) - 아르한겔스크는 2025년 봄-여름 항해 시즌에 중국에서 최대 20척의 선박이 입항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아르한겔스크 주지사 알렉산더 치불스키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말했다. "우리는 중국과 함께 컨테이너 노선을 출시했습니다. 첫 번째 선박 기항은 2023년 상하이-아르한겔스크였습니다. 작년에는 10척의 선박 기항이 있었습니다. 올해는 최대 20척의 선박 기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아르한겔스크] 항구가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화물 운송에 대한 새로운 전문성을 [숙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항구의 새로운 심해 구역 건설과 같은 전략적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것에 대한 전제 조건을 만들어 냈다고 생각합니다." Tsyb.. 2025.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