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SCO사 일반화물선의 갑판적 운송
2013년 COSCO의 Yong Sheng이 북극해항로를 국제통과 항해하면서 갑판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항해하고 있었다.
2. 러시아 노릴스크 니켈사의 Norilsk Nickel호는 무르만스크/북유럽항과 두딘카항간 컨테이너를 운송했다
3. 러시아 원자력 추진 화물선 Sevmorput호의 컨테이너 운송
1988년 sevmorput호는 LASH선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여 북극 항만으로 화물 운송을 수행했다.
러시아 극동-발트해 상트페테르부르그간 컨테이너 운송을 시작했으며.
2022년부터 2035년까지 극동-발트해간 정부 보조금 정책이 수립되었다. 2022년부터 하절기 2-3항차의 컨테이너 운송을 담당했으나, 2024년부터는 다른 선박이 투입되었다.
4. Maersk 사의 Venta maersk
5. 중국 NewNew Shipping사
2022년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응한 대러 제재로 서구 선박이 발트해 러시아 항만에 기항하지 않게 되었다. 발트해 러시아 물동량을 취급하던 서구 선사 대신 중국 선사가 참가하였다. 특히 서구로부터 수입하지 못하게 된 화물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게 되면서 중국 선사가 중국-발트해 러시아 항만간 운송에 참여하게 되었다. COSCO사는 글로벌 항해를 담당하므로 대러 제재 대상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서 운송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중소 선사인 NewNew Shipping사가 이 운송에 참여하게 되었다.
2023년부터 중국 NewNew Shipping 사가 평상시에는 수에즈항로를 통해 운송하다가 하절기에 북극해항로를 통한 컨테이너 운송에 참여했다.
'Issues_주요 이슈 > Container_북극항로 컨테이너선 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 컨테이너선 사양 (0) | 2025.03.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