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념 : 북극해 심해에 해저 케이블을 매설하여 동아시아(일본, 중국, 한국 등)와 북극 연안 도시- 북유럽 국가와 미국 동부를 광통신으로 연결하는 사업
2. 현재까지 진행 상황
- 스발바르 케이블 시스템 :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민간 거주지 스발바르 섬과 노르웨이 본토를 연결하는 1,400km 링크
- 2012년 ROTACS( Russia Optical Trans-Arctic Submarine Cable System) 시도
: 러시아 기업 Polarnet, 미국 케이블 공급업체 Tyco(현재 Subcom)이 ROCTAS를 건설하기 위한 계약 체결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공으로 보류, 이후 취소
- 2015년. Arctic Connect 프로젝트
: 핀란드 주도, 북유럽 국가와 일본을 북극해항로를 통해 연결하는 13,800km의 케이블을 놓는 것.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가장 짧은 케이블.
: 핀란드 통신사 Cinia, 러시아 통신사 Megafon이 프로젝트 추진,
: 2021/2022년 가동될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러 제재와 급증하는 비용으로 Arctic Connect는 사라졌음.
- 미국, 알래스카 광섬유 기업 퀸틸리온
: 미국 주 경유, 런던에서 도쿄까지 북서항로를 통한 북부 케이블 제안
: 일부 링크 건설. 북극해에 알래스카 노옴에서 프루도만까지 해저케이블 설치
: 퀸틸리온 CEO 엘리자베스 피어스의 2.7억 달러 투자자 사기. 60개월 징역형 선고
: 야심찬 네트워크 계획이 무너짐.
3. 러시아의 Polar Express Cable 추진.
- 북극해를 통해 러시아의 여러 북극 지역을 연결하는 국가 자금 지원 케이블 사업
- Teriberka-Amderma 연결하는 첫번째 구간 2022년 10월에 시작. 2022년 첫번째 구간 완공
- 두번째 구간은 2025년에 온라인에 오를 예정.
- Polar Express는 글로벌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4. Polar Connect
- 제일 최근의 북극 케이블 프로젝트
- 스웨덴에서 노르웨이와 스발바르를 거쳐 북극을 거쳐 일본, 한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까지 이어지며, 알래스카와 러시아 사이의 베링해협을 고쳐 미국에 착륙 지점도 있음.
- 10,000km 케이블은 2,000km는 두꺼운 얼음 아래를 통과하며 목표 출시일은 2030년임.
-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아이슬란드의 학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북유럽 지역 및 교육네트워크인 NORDUnet에서 계획하고 있음.
- Polar Connect를 설치하려면 3척의 선박이 필요. 2척의 대형쇄빙선(PC2)와 내빙 케이블 설치 선박.
- 유럽연합은 Polar Connect를 지지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 북극해 해저 지도 작성을 위해 이 프로젝트에 400만 유러 지원했다고 발표
5. Far North Fiber
: FNF는 핀란드의 Cinia Oy, 미국의 Far North Digital, 일본의 ARTERIA Networks 컨소시엄이 개발한 해저 광섬유 케이블 시스템임.
: 연결성에서 가장 큰 격차를 겪고 있는 북극 지역에 절실히 필요한 광대역 접속을 제공할 것이다. FNF는 2027년까지 가동을 시작하여 유럽과 북미 간에 안정적이고 대용량의 링크를 제공할 것이다.

6. 도전 과제 1 : 절단
2022년 1월 7일 04:10 로이어비엔의 인터넷이 단절되었음. 조사 결과 1,300km의 케이블이 자연적인 원인이 아닌 인간에 의해 손상된 것으로 밝혀졋음.
독일과 핀란드를 연결하는 C-Lion1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단절되었음. 이 사건에서 스웨덴과 핀란드 합동조사는 중국 벌크선 Yi Peng 3에 집중되었음.
2024년 12월 에스토니아와 핀란드를 연걸하는 Estlink 2 전력 케이블이 단절되었음. 핀란드 전력망은 정전을 보고했고, 핀란드 국경경비대는 러시아 새도우 탱커인 Eagle S를 압수했음. 피해와 수리 비용은 수천만 유로로 추산됨.
해저케이블이 놓인 북극해 지역을 통과하는 선박은 단순히 해저 바닥을 따라 닻을 끌 수 있다. 이 간단한 과정으로 바닥에 있는 케이블이 으깨지거나 찢어져 전력이나 인터넷이 중단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