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극해항로 항해
- 통상 북극해항로 상의 수송은 여름항해, 혹은 시즌항해라는 명칭으로 7월초에서 11월말까지 5개월 정도의 여름가을의 계절운항이 이뤄지고 있음. 경우에 따라서는 6월 하순에서 12월 초순까지 항해가 이뤄진 경우도 있었음. 연중항해는 NSR상의 무르만스크-노릴스크 항로에서만 수행되었음.
- Yamal LNG 프로젝트가 완성되는 2017년말 시점 이후에, 사베타항에서 유럽과 아시아시장으로 연중 항해로 LNG가 수송될 것으로 예상되었음. 아시아시장으로의 연중항해는 이루어지지 않았음
2. 러시아 국영선사인 Sovcomflot의 시험운항 종료
- 러시아 국영선사 Sovcomflot사는 2010-2012년 3년동안 북극해항로 시험항해를 수행했음. Aframax, Suezmax 등 대형선박으로 심해항로 운항에 성공했음.
- 2010년, Sovcomflot사 보유 Aframax SCF Baltic 117,000톤 1A-Super(Arc5)가 최초로 사니코프 해협을 통해 (최소 수심 14m), 전통적인 NSR 루트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항해한 바 있음
- 2011년에는 1A-Super(Arc5) Sovcomflot 보유 Suezmax Vladmir Tikhonov호가 최초로, 신 시베리아 군도 북쪽으로 향하는 새로운 심해항로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항해한 바 있음
- 이를 통해 기존의 NSR 항로(사니코프 해협 경유)로 Aframax 급 선박 화물운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Suezmax급 선박은 신 시베리아군도 북쪽으로 항해하는 새로운 심해항로로 운항이 가능하였음, 그러나 랍체프해와 동시베리아해의 수심 정보 입수를 위해 많은 수로측량작업이 필요함.
- Sovcomflot사에 의해 수행된 통과 운항은 NSR에 의한 대형선박 운항 가능성을 확인할 목적으로 한 시범운항이었음. 이들 운항 결과에 따라, 수로측량 작업을 수행하기로 결정이 내려졌음.
3. 연도별 북극해항로
2005-2009년
- 무르만스크해운이 석유제품, 스크랩 메탈 등을 스팟 운송했음.
- 2만톤 이하의 Arc3- Arc6 내빙화물선이 북극해항로에서 항해했음.
- 벨루가쉬핑의 선박 두 척이 울산에서 중량물을 선적하여 북극으로 운송하기도 했음.
2010년
러시아 정부의 북극해항로 재활성화 노력
다양한 종류의 선박에 대한 시험 항해
SCF Baltika( 117,153 DWT)호가 가스 콘덴세이트를 무르만스크에서 중국으로 운송
Nordic Barents( 43,700 DWT)호가 Iron Ore를 키르키네즈에서 중국으로 운송
2011년
노바텍과 Eurochem사와 같은 러시아 북극의 화주가 북극해항로를 통한 자원 운송을 시작함
가스콘덴세이트 9항차, 철광석 3항차 운송
한국의 여수로부터 유럽으로 나프타 운송 : Backhaul cargo 확보의 가능성
2012년
내빙선박을 보유한 노르딕과 러시아 선사들이 북극해항로 항해를 선도함
가스컨덴세이트 8항차, 철광석 4항차, LNG 1항차
한국의 석유제품 운송. 중국으로부터 유럽으로의 풍력설비. 여수와 울산의 한국 석유제품의 시장성
2013년
북극해항로 국제통과운송 물동량 135만톤 달성
나프타, LNG, 철광석과 액체화물 물동량 증가( 통과물동량 135만톤을 포함하여 총 393만톤 운송)
현대글로비스의 나프타 시범운송.
COSCO사의 Yongsheng 시범 항해
캐나다 밴쿠버로부터 북극해항로를 통해 석탄이 유럽으로 운송되었음
2014년
북극해항로 통과항해 급감(러시아 북극해항로 tariff 시스템 변경, 대러제재, 유가 감소 등의 이유가 그 배경이었음)
액체화물 운송 급감( 노바텍사의 석유제품 선적항이 핀란드만 Ust-Luga로 변경. 아시아 방면 운송 중지)
캐나다 석탄의 유럽 운송. 야말 플랜트 화물의 사베타항 방면 운송
2015년
푸틴 대통령 북극해항로 컨테이너 국제 운송 언급(2015년 블라디보스톡 동방경제포럼)
야말 플랜트 화물 운송, 중국 COSCO사의 Yongsheng의 북극해항로 왕복항해
북극해항로 물동량이 최저에 달했음
2015년 북극해항로 통과운송은 모두 18회 이루어졌으며, 이중 7회의 운송이 Laden 운송(39,586톤, 승객 137명)이 이루어졌음. 두 척(Yong Sheng, Winterbay)은 왕복운항을 했으며, Garmonia호는 Laden 운송 후 Ballast 운항을 했으며, Bremen과 HHL Valparaiso는 1회 Laden 운송을 했음.
- Ballast 운송은 모두 11회였음. 화물선 4척, 어선 1척, Tug선 3척, Crane선 1척이 편도운항을 했으며, 구조선 1척이 왕복 운항하였음.
- 4회의 운항(Laden 운항 3회)에만 쇄빙선이 투입되었으며, 14회의 운항에서 쇄빙선이 투입되지 않았음.
- 2015년에는 건화물 2회, 냉동생선 3회, 중량화물이 2회 NSR을 통과운송되었으며, 크루즈선이 1회 운항하였음.
2016년
야말 LNG건설 관련 플랜트 화물 운송 활성화
Yamal 플랜트 화물 운송(한국 Pan Ocean 2척의 선박이 중량화물 운송에 참여했음).
COSCO사 선박은 펄프, 풍력설비 운송
캐나다 석탄의 유럽 운송과 냉동 화물 운송
2017년
COSCO사 선박의 중국-유럽간 북극해항로 정기적 운송 서비스 제공
중국 선박이 아닌 외국적 선박도 펄프와 풍력설비 운송에 참여함
COSCO선박이 일본과 한국 화물 운송. 냉동화물 운송 지속
2018년
머스크 컨테이너선이 최초로 북극해항로 성공적 시범 통과항해
Yamal LNG 운송 시작.
COSCO 북극해항로 항해 확대
중국 조선서 신조 선박이 북극항로를 시범 항해했음
기존 북극해항로 운송화물이 지속적으로 운송되면서 북극항로에서의 크루즈 관광과 탐험항해가 시도되었음
캐나다 Milne Inlet 철광석의 북서항로 운송 시작
2019년
COSCO의 북극해항로 항해 점진적 증가(핀란드 목재상품 컨테이너의 일본 북해도 운송)
유럽 철광석의 아시아향 운송, 러시아 석유와 LNG아시아 방면 운송 증가
북서항로 통과항해 증가(4항차)
러시아 컨테이너의 카보타지 운송 시작. 극동-상트페테르부르그간 보조금 운송
2020년
해빙감소로 항해여건 개선
통과항해 증가
벌크화물 중심으로 증가
국제통과운송 관점 : 다양한 선박의 통과항해, 외국 선사의 표준화된 운영 패턴
2021년
목적지 운송이 확대되었음. Yamal LNG의 아시아 방면 운송이 증가했음.
철광석, 석탄, 일반화물, 중량화물의 국제통과운송이 증가하였음, COSCO사와 북유럽 선사의 운송이 확대되었음. 철광석 운송은 Oldendorff, Nordic Bulk, Golden Oceans사 등이, 석탄 운송은 Oldendorff, Golden Oceans사가 참여했음. Wagenborg사와 COSCO사가 종이와 펄프 운송을, COSCO사는 일반화물, 중량화물은 UHL사와 COSCO사의 선박이 참여했음. COSCO사와 Wagenborg사는 Back-haul화물을 확보했음.
2020년 대비 북극해 항해 여건은 나빠졌지만 물동량은 증가했음.
Yamal LNG운송은 2019년(Jul-Oct) 17항차, 2020년(-Dec 7) 34항차, 2021년(June-early Nov)은 38항차 이루어졌음
한국관련 운송은 다음과 같았음
2022년
Sevmorput호의 북극해항로 왕복항해 두 차례 시행(보조금 항해)
COSCO가 Arctic LNG2 플랜트 운송 수에즈항로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대러 제재로 NSR인프라 건설 지연, 북유럽 준설선 철수
wagenborg사의 북서항로 항해 지속
2023년
중국-러시아 협력에 의거한 Newnew shipping사의 컨테이너 운송. 2023년 7월 정기적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 시작. 4척의 선박이 7항차 북극해항로 항해했음
Rosatom-DP World간 컨테이너 선사 설립
러시아 카보타지 운송 확대-보조금 항해
북극해항로를 통한 아시아 시장으로 러시아 액체화물 운송 증가. LNG목적지 운송. 2024년 북극해항로에서의 연중항해 선언( 결과적으로 달성되지 못했음 )
통과물동량 증가했으나 2022년 대비 외국 선사는 중국 선사가 유일했음
북서항로는 지속
2024년
- 중국 선사의 북극해항로 컨테이너 운송 확대
Arctic Express No 1(중국-아르한겔스크), 중국-상트페테르부르그 간 정기적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
인도 첸나이-블라디보스톡간 해운회랑
북극해항로 항해규정에 대한 러시아 선박과 기관의 위반
Great NSR : 블라디보스톡-상트페테르부르그 간 항로
2024년 물동량 목표 미달성.
2025년
-
'Voyage_항해 > Yearly_Voyage_연도별 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서항로 항해 (0) | 2025.03.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