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해양국가는 그 나라 선박에 대한 선급을 부여하기 위해 선급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각 선급기관은 내빙, 쇄빙선박에 대해서도 선급을 부여하고 있다. 내빙 쇄빙선박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의 선급기관은 내빙과 쇄빙선박의 선급이 상세하게 구분되어 있다. 각 나라의 선급기관에서 내빙선박의 선급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IMO에서 Polar Class를 정의하여 적용하고 있다. 각 나라에서 구분하고 있는 선급과 각 선급별 내빙, 쇄빙 항해 기준은 다음과 같은 표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NO | 러시아 선급 | 쇄빙 얼음 두께(m) | 항해가능 결빙조건 | Finnish/ Sweden Class |
비고 |
1 | IceBreaker9 | Leader | |||
2 |
IceBreaker8 | 4.5 | 3노트 | Project22222 | |
3 |
IceBreaker7 | 3 | 2-3미터 얼음에서 3노트 | Arktika class | |
4 |
IceBreaker6 | 2 | 2미터 얼음에서 3노트 | Taymyr class | |
5 |
Arc9 | 3.5/4.0 | 다년빙(12노트) | ||
6 | Arc8 | 2.1/3.0 | 집약된 부유 2년빙(10노트) | ||
7 | Arc7 | 1.4/1.7 | 집약된 부유 1년빙 | ||
8 | Arc6 | 1.1/1.3 | 부유 1년빙(6-8노트) | ||
9 | Arc5 | 0.8/1.0 | 부유 1년빙(6-8노트) | IAS(1.0) | |
10 | Arc4 | 0.6/0.8 | 부유 1년빙(6-8노트) 겨울 0.6/여름 0.8 |
IA(0.8) | |
11 | Ice3 | 0.7 | |||
12 | Ice2 | 0.5 | IB(0.6) | ||
13 | Ice1 | 0.4 | IC(0.4) | ||
II(Light ice) |
'Infra_인프라 > Icebreaker_쇄빙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쇄빙선 (0) | 2025.03.19 |
---|---|
미국 쇄빙선 (0) | 2025.03.19 |
핀란드 쇄빙선, 쇄빙선 운영회사, 조선소 (0) | 2025.03.19 |
핀란드 쇄빙선, 쇄빙선 운영회사, 조선소 (0) | 2025.03.19 |
캐나다 쇄빙선 (0) | 2025.03.19 |